PM(18)
-
PM 직무 관련 용어 총정리
최근 채용 트렌드에서 PM이라는 직무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M은 Product Manager의 약자로, 제품의 기획, 개발, 출시, 운영 등을 책임지는 직무입니다. PM은 IT 산업이 발전된 지역을 뜻하는 대명사인 미국의 실리콘밸리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IT 산업이 발전하면서 직무 또한 세분화되었고 지금은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직무입니다. PM의 업무와 역할은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기획자와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아직까지는 기획자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PM은 프로덕트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전반적인 의사결정을 진행하며 사용성 개선, 비즈니스 임팩트, 정책, 전략, 영업 마케팅과 협업, 홍보 등 프로덕트 전체에 기여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직무입니다. Product ma..
2023.09.08 -
PM은 실무에서 SQL을 어떻게 사용할까? (2편)
실무에서 SQL이 필요한 이유와 Data-driven PM에 대해서 l 이해관계자, 개발자, 디자이너와 소통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M은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PM은 제품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PM은 SQL을 사용하여 이해관계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l 데이터 기반 PM(프로덕트 매니저)은 요즘 뜨고 있는 직업입니다. 데이터 PM은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제품 및 기능을 설계하고, 통계 분석을 위한 시각화 도구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가설 테스트 및 모델링을 통해 변수 간의 고유한 관계를 식별합니다. 변수 간의 고유한 관계를 설명하는 쉬운 이해를 위해 아마존의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아마존..
2023.09.04 -
PM은 실무에서 SQL을 어떻게 사용할까? (1편)
PM은 실무에서 SQL을 어떻게 사용할까? 흩어진 데이터를 정리하고 지표를 정의할 때 중요합니다. 제 경험을 미루어 보았을 때, 필요한 데이터와 불필요한 데이터를 분리, 특히 지표를 정의할 때 SQL을 사용하면 용이했습니다. 제 이전 직장의 업무는 정의된 지표를 바탕으로 Tableau를 사용해 지표를 구현하는 것이었습니다. 전사적으로 지표를 정하고 이를 구현할 때 지난 글에서 말했던 데이터 PM의 역할이 중요해집니다. 여기서 데이터 PM은 사업부와 개발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합니다. 현업에서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알면 개발자와 의사소통이 더욱 원활해집니다. 데이터 PM은 정의하려는 지표를 바탕으로 사업부의 내용을 실무에서 사용하는 DB로 부터 구성할 수 있을지 검토하고,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백..
2023.08.25 -
Zendesk, 고객 경험 관리 자동화 솔루션 리서치
젠데스크 한글 브로셔 외 대부분 영문으로 설명이 되어있고 한국 영업팀과 연결 외에는 자료를 찾기 어려워서 따로 정리해 보았다. Zendesk란? 젠데스크는 고객 경험 관리 자동화 솔루션으로, CRM 솔루션을 도입해 체계적인 모바일 CS 시스템 구축가능하다. FAQ , 고객 문의 등에 대해 젠데스크에 구축된 옴니 채널을 사용해 고객 경험 관리 체계화, 업무 생산성 향상 가능 Zendesk Gather로 커뮤니티를 구성해 사용자 스스로 문제 해결 가능 (게시글에 댓글을 허용해 사용자끼리 서로 해결하도록 하는 방법) → 변경 사항 있을 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및 관리 필요 문의 고객 정보를 내부에서 편하게 수집 가능 (Zendesk에서 제공하는 필드값, 커스텀으로 추가한 필드값은 고객 문의 시 대부분 받아올 ..
2022.02.23 -
닥터나우 핵심 성장 지표(KPI)와 2022년 OKRs 세워보기
닥터 나우 소개 영상 닥터나우는 의사에게 비대면으로 진료받고, 약국에서 30분만에 약을 타올 수 있는 서비스이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회사다니느라 진료를 미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런사람들뿐 아니라 많은사람들이 굳이 병원에 가지 않아도 진료가 가능하다면 너무 편리하지 않을까? '언젠간 되겠지'라고 생각했던 미래가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이 편의성에 가려진 다른 문제점들도 있을것이다. 환자는 비대면 진료니까 '혹시 오진이 나지 않을까?' 라는 걱정을 할 수 있고, 외적인 문제로는 법 규제, 대한의사협회 등의 집단으로 부터 비대면 진료에 대한 승인 등 복잡한 문제들을 하나씩 풀어가야하고 거기에 '닥터 나우'가 있다. 핵심 성장 지표와 OKRs 설정하기 닥터나우의 핵심 성장 지표(KPI : ..
2021.09.17 -
'메타버스 강자' 美 로블록스(Roblox), 한국판 로블록스 제페토(ZEPETO), 이프랜드(ifland)에 대해서
제페토는 전 세계 2억명(21 2Q 기준)의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인싸앱이라 불린다. 제페토는 현재 한국판 로블록스를 겨냥하며 국내에서 '제 2의 메타버스 강자'로 성장하고 있다. 제페토의 경쟁사라고 하기엔 로블록스는 너무 큰 기업이지만 국내에서 메타버스로 제페토를 겨룰만한 경쟁사가 없기에 로블록스를 제페토의 경쟁사로 선정했다. 또한, 이번에 SKT에서 출시한 'ifland'에 대해서도 알아보려고 한다. 로블록스를 소개하기 전, 메타버스란 무엇인가? 메타버스(Metaverse)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사물인터넷(IoT) 등 ICT 기술과 결합해 현실감을 극대화한 실감미디어(XR) 서비스를 의미한다. Ex. 로블록스, 싸이월드, 트레드밀, 게더타운, ZEPETO 등 로..
2021.09.04